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8. 타일고르기

아파트 리모델링/리모델링 이야기

by 돼지박사 2020. 12. 15. 03:27

본문

반응형

인테리어를 하면서

 

현실과 타협하길 수차례였지만

 

타일 고를 때가 역대급이었다.

 

 

 

 

 

정해놓은 대로 고르려니

 

같은 건 없고, 비슷한 것도 없어서 많이 좌절했다.

 

 

 

 

 

 

 

 

 

현관 타일

 

 

 

내가 원했던 것 (왼쪽)                    매장에 있는 것 (오른쪽)

 

 

 

 

 

 

시작부터 잘 골랐나 확신이 안 서는데,,

 

 

 

 

 

 

 

잘 골랐다 싶다.

 

단정한 현관에 화사한 느낌을 줄 것 같다.

 

 

 

 

 

타일은 한장일 때와 붙여 놨을 때

전혀 다른 느낌이 될 때가 있다.

 

 

때문에

해당 타일 카달로그를

매장에 요청하여

시공된 사진도 살펴보길 추천한다.

 

 

 

 

 

 

 

 

 

 

 

 

부엌 타일

 

 

내가 원했던 것 (왼쪽)                    매장에 있는 것 (오른쪽)

 

 

 

 

 

그냥 무광 유광 둘 중에 하나 골라야 했다.

 

 

 

 

 

 

 

 

 

 

타일의 옆부분 색도 중요하다.

매지에 스며 나오기 때문이다.

 

 

 

위 타일 같은 경우는

흰색으로 매지 시공 시,

 

옆면의 노란색이 매지에 스며들어

매지가 때 타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비둘기색 으로 시공하기로 했다.

 

 

 

 

 

 

 

그렇다.  

 

오늘 우리는 타일을 고르면서
매지의 색도 생각해 봐야 한다.

 

 

 

더불어

 

줄눈이 들어가야 할곳과 아닌곳도 파악하여

 

줄눈의 색도 미리 정해 놓으면 좋을 것 같다.

 

 

 

 

 

 

보일러실 베란다 타일 차례.

 

 

 

 

이상과 현실

 

 

내가 원했던 것 (왼쪽)                                                                                                                                         매장에 있는 것 (오른쪽)

 

 

 

 

인테리어 업체 사장님과 타일업체 사장님이

 

나의 대답을 기다리고 있으므로

 

선택이 늦어지면 초조해진다.

 

 

 

 

미팅 전에 일찍 와서 매장 타일 좀 구경해 볼걸 그랬다.

 

 

이 많은 타일 중에 내가 찾는 타일만 없을 줄은 몰랐다.

 

 

 

 

 

 

 

 

 

 

 

베란다 타일 고르기.

 

 

 

이상과 현실

 

 

내가 원했던 것 (왼쪽)                매장에 있는 것 (오른쪽)

 

 

 

왼쪽에 있는 타일 같은 경우는

 

예전에 유행했던 타일이라
지금은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요즘은 광택보다 무광택이 인기.

 

 

 

 

 

 

 

개인적으로 세탁실 바닥은

fish scale 이라는
물고기 비늘 모양의 타일을 하고 싶었는데

 

 

 

이상과 현실.

 

내가 원했던 것 (왼쪽)                               매장에 있는 것 (오른쪽)

 

 

 

 

그래,,

 

색상은 비슷하다,,

 

 

 

타일의 크기가 작을수록

작업하기 까다롭기 때문에

시공비가 더 들 수 있다.

 

 

 

그래서인지

 

망에 여러 장 붙여 나온 망 타일이나

 

 

타일 한 장에 패턴처럼 조각된 타일이 많았다.

 

 

 

 

 

위 같은 타일의 경우도
한 장을 붙이면

줄눈에 따라

정사각형 타일 여러 장을 붙인 효과가 있다.

 

 

 

 

화장실 타일은 무난한 것으로 골랐다.

 

 

 

 

반짝반짝 광나는 폴리싱 타일은 미끄러우니까 절대 안 되고

 

 

표면이 거친 느낌의 무광택 포세린 타일 중에서 고르는 거다.

 

 

 

 

 

 

 

욕실에 쓰이는 타일들은 

 

주로 큼지막한 크기였다.

 

 

 

안방, 거실화장실의 벽면 타일

 

 

 

 

시공된 모습이 어떨지 궁금하다.

 

 

 

 

욕실 바닥면으로 고른 타일

 

 

 

 

 

 

 

 

 

 

 

 

 

 

 

여기서 끝난 게 아니다.

 

 

 

욕실에 들어갈 각종 악세사리 들도 골라야 한다.

 

 

 

 

 

 

 

 

 

 

 

화장실 수건걸이 이상과 현실.

 

 

내가 원했던 것 (왼쪽)                                            매장에 있는 것 (오른쪽)

 

 

 

 

오직 크롬만 존재한다.

 

 

 

 

 

 

 

 

 

 

 

다음 중 샤워기 바를 고르시오.

(오지선다)

 

 

 

 

 

 

 

 

 

 

 

 

 

 

 

샤워기 바를 고르셨으면

 

 

샤워기 수전과 욕실장은 자동선택입니다.

 

 

 

 

 

 

 

 

 

 

 

 

 

 

 

변기와 세면대는 세 개 중에 하나 고르면 됩니다.

 

 

 

 

 

넵.

 

청소 편한
치마형 변기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세면대로 할게요!

 

 

 

 

 

 

 

 

 

 

 

 

안방의 포인트가 될

 

건식 세면대와 수전도 추가로 골랐다.

 

 

 

 

 

 

세면대는 흰색 주문 불가로

 

...

 

매장에 있던 초록색을 그대로 시공하기로 했고,

 

 

 

 

수전은 화장실 수전과  비슷한 걸로 골랐는데

 

 

왠지 둘 다 고장 잘나게 생겼지만

 

 

아직 고장 신고(?)는 없다는
타일업체 사장님 말을 듣고 조금 안심이 되었다.

 

 

 

 

 

 

 

 

현장은 목공사 예정인데

 

아직 설계도면을 받지 못했다.

 

 

 

 

 

각자 머릿속에 그려진 모습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객관적으로 표기한

 

설계도면 확인은 본격 공사 전에 필수다.

 

 

 

서로 협의된 설계도면이 있어야

 

발주자,  인테리어 업체, 시공자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다.

 

 

 

 

계약에서부터 철거까지 며칠이 지났지만

 

요청한 설계도면은 세 차례 미뤄지며

 

아직 한 번도 받아 보질 못했다.

 

 

 

지금쯤 설계도면 확인도 하고

 

몇 번 수정도 거친 뒤

 

목공사를 시작해야 하는데...

 

 

 

급한 마음에 다시 한번 설계도면을 요청해 본다.

 

 

 

 

반응형

'아파트 리모델링 > 리모델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조적욕조  (0) 2020.12.16
9. 조명고르기  (0) 2020.12.15
7. 철거완료와 샤시교체  (0) 2020.12.14
6. 도시가스관 철거 및 교체  (2) 2020.12.13
5. 철거시작  (0) 2020.12.11

관련글 더보기